티스토리 뷰

개발냥이/HTML & CSS

[CSS] CSS Selector 정리

데브캣_DevCat 2023. 2. 15. 14:01

개념

  • HTML 안의 특정 요소를 선택할 수 있는 도구

 

종류

전체 선택자

  • HTML 페이지 내부의 모든 태그를 선택

  
* {
box-sizing: border-box;
margin: 0;
padding: 0;
}

 

태그 선택자

  • 같은 태그명을 갖는 모든 요소를 선택
    
      
    a {
    text-decoration: none;
    }

 

클래스 선택자


  
.class1 {
color: red;
}
div.class2 { // 띄어쓰기 없음. 띄어쓰기 하면 하위 선택자가 됨
color: yellow;
}

  
<div class="class1">빨간색</div>
// div.class2는 div이면서 class2인 것만 변화시킨다.
<p class="class2">변화없다</p>
<div class="class2">노란색</div>

 

아이디 선택자


  
#container {
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
id선택자와 class선택자의 용도
  • 한 페이지 내에서 여러 번 반복될 필요가 있는 스타일은 class 선택자를 사용하고 단 한 번, 유일하게 적용될 스타일은 id 선택자를 사용한다.
  • class 선택자는 글자색이 굵기 등 다른 곳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스타일일 때 사용하고 id 선택자는 웹 문서 안에서 요소의 배치와 같은 방법을 지정할 때 주로 사용한다.

 

 

 

복합 선택자

 

하위(후손) 선택자와 자식 선택자

 


  
/* 하위(후손) 선택자 */
header p { border: 1px solid green; }
/* 자식 선택자 */
header > p { border: 1px solid blue; }

  
/* 하위(후손) 선택자 */
<header>
<p> <!-- 선택 -->
<span>
<p></p> <!-- 선택 -->
</span>
</p>
<p> <!-- 선택 -->
<span>
<p></p> <!-- 선택 -->
</span>
</p>
</header>

  
/* 자식 선택자 */
<header>
<p> <!-- 선택 -->
<span>
<p></p>
</span>
</p>
<p> <!-- 선택 -->
<span>
<p></p>
</span>
</p>
</header>
  • 하위(후손) 선택자는 부모 요소에 포함된 모든 하위 요소에 적용
  • 자식 선택자는 부모의 바로 아래 자식에게만 적용

 

일반 형제 선택자와 인접 형제 선택자

  • 같은 부모 요소를 가지는 요소들을 형제 관계라고 한다.


  
/* 일반 형제 선택자 */
p~ul { color: yellow }
/* 인접 형제 선택자 */
p+ul { color: red }

  
/* 일반 형제 선택자
* p~ul 일 때 p의 형제 요소 중 p 요소 뒤에 위치하는 모든 ul을 선택! **/
<p>The first paragraph.</p>
<ul> <!-- 선택 -->
<li>Coffee</li>
<li>Tea</li>
<li>Milk</li>
</ul>
<ul> <!-- 선택 -->
<li>Coffee</li>
<li>Tea</li>
<li>Milk</li>
</ul>

  
/* 인접 형제 선택자
* p+ul 일 때 p의 형제 요소 중 p 요소 바로 뒤에 위치하는 ul만 선택 **/
<p>The first paragraph.</p>
<ul> <!-- 선택 -->
<li>Coffee</li>
<li>Tea</li>
<li>Milk</li>
</ul>
<ul>
<li>Coffee</li>
<li>Tea</li>
<li>Milk</li>
</ul>
  • p와 ul 사이에 다른 요소가 존재하면 선택되지 않는다!

 

가상 클래스 선택자

  • 요소의 특정 상태에서만 선택이 되는 가상의 클래스를 지정

  
a:hover {
color: red;
}
input:focus {
background-color: yellow;
}

동적 셀렉터

  • :link 방문하지 않은 링크일 때
  • :visited 방문한 링크일 때
  • :hover 마우스가 올라와있을 때
  • :active 클릭된 상태일 때
  • :focus 포커싱 되었을 때

 

구조 가상 셀렉터

  • :first-child 셀렉터에 해당하는 모든 요소 중 첫번째 자식 요소를 선택
  • :last-child 셀렉터에 해당하는 모든 요소 중 마지막 자식 요소를 선택
  • :nth-child(n) 셀렉터에 해당하는 모든 요소 중 앞에서 n번째 자식 요소 선택
  • :nth-last-child(n) 셀렉터에 해당하는 모든 요소 중 뒤에서 n번째 자식 요소 선택
  • :nth-child(odd/even) (홀수/짝수)번째 자식인 요소 선택
  • :nth-child(2n) 두번째 요소마다 선택(짝수)
  • :nth-child(2n+1) 첫번째 요소부터 두번째 요소마다 선택(홀수)
  • :nth-child(n+5) 다섯번째 요소부터 모두 선택
  • :nth-child(-n+5) 앞에서부터 다섯개만 선택
  • :first-of-type 대상 요소 형제 중 대상 요소가 첫번째로 확인되는 요소 선택
  • :last-of-type 대상 요소 형제 중 대상 요소가 마지막으로 확인되는 요소 선택
 
:first-child 와 :first-of-type의 차이

  
<div>
<div>text1</div>
<p>text2</p>
<p>text3</p>
</div>

  
/* Case1 */
div p:first-child { color: red; }
/* Case2 */
div p:first-of-type { color: red; }
  • text2의 색을 변화시키고자 할 때 Case1의 경우는 변화가 없고 Case2의 경우에만 변화가 있다.
  • :first-child 는 div 하위 요소 중 p 사이에 div 자식요소가 존재하기 때문에 선택이 되지 않는 것이고(요소들 중 첫번째 요소를 변화시키나 그 요소가 p여야 함)
  • :first-of-type 는 p 요소만을 가지고 카운팅하기 때문에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p 요소들 중 첫번째를 선택한다는 의미)
반응형

'개발냥이 > HTML & 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ML5_새로운 태그  (0) 2022.07.08
HTML_태그 건너뛰기 / 프레임지정  (0) 2022.07.08
HTML5_시멘틱 요소  (0) 2022.07.07
HTML_Form 요소  (0) 2022.07.07
HTML_table  (0) 2022.07.07
댓글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