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CSS 개발 방식

CSS-in-CSS

  • 렌더링할 때 모든 CSS 요소를 로딩하기 때문에 인터렉티브한 웹 페이지를 구성할 때 사용자 편의를 반영하기 좋다.

 

CSS-in-JS

  • 해당 컴포넌트가 렌더링 될 때만 스타일 태그를 생성하기 때문에 컴포넌트 기반 프로젝트에 유용하다.
  • 각 컴포넌트의 라이프 스타일에 맞게 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고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동적 스타일 적용이 자유롭다.
  • 자바스크립트 해석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CSS 모듈 방식에 비해 성능이 느리다.

 

CSS 라이브러리

CSS-in-CSS 종류

CSS-module

  • CSS를 모듈화하여 사용하는 방법
  • 기본적으로 CSS 클래스의 범위가 정해져있다는 점에 대한 이점은 CSS-in-JS와 동일하지만 순수 CSS 파일을 유지하기 때문에 CSS-in-JS가 가지고 있는 자바스크립트 해석 과정이 필요없다.
  • state of css 에서는 CSS-in-JS로 분류하기도 하는데 그 와중에 인지도, 사용률, 만족도 모두 상위권이다.
{이름}.module.css
/* Component1.module.css */

.bg {
    background: green;
}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style from './Component1.module.css'

export default function Component1() {
        return <div className={style.bg}>
                div Tag</div>
}
  • CSS 클래스를 만들면 자동으로 고유한 className을 만들어서 scope를 지역적으로 제한한다.
  • 컴포넌트 단위로 스타일을 적용할 때 유용하다!

장점

  • Scope가 지역적으로 제한되기 때문에 전역 오염을 방지
  • 고유한 클래스로 인해 클래스명 작명에 대한 부담이 없음

단점

  • 컴포넌트별로 CSS파일을 관리하기 때문에 파일이 많아짐
  • 동적으로 클래스를 구성하려면 별도의 모듈 설치가 필요

 

CSS 전처리기(Preprocessor)

  • CSS를 프로그램처럼 관리하려는 방식이다.
  • 특별한 구문(Syntax)을 가지고 프로그래밍 개념을 사용하여 컴파일을 통해 CSS를 생성한다.

주요 모듈

장점

  • 공통 요소를 변수나 함수로 대체할 수 있는 재사용성(테마 공유 등)
  • 중첩, 상속 등으로 코드 관리가 용이함

단점

  • 별도의 전처리기를 위한 도구가 필요
  • 컴파일 하는 데 시간 소요

 

CSS-in-JS 종류

Styled-component & Emotion

  • CSS-in-JS 에서 인지도가 있는 두 라이브러리를 비교해보았다.
  • 두 라이브러리는 모두 CSS 혹은 객체 표기법을 통해 스타일링을 한다.
/* styled component */

// 탬플릿 리터럴 방식
const Title = styled.h1`
  font-size: 1.5em;
  text-align: center;
  color: palevioletred;
`
render(<Title>Hiya!</Title>)

// 객체 표기법
const button = styled.button({
  fontSize: '1.5em',
  textAlign: 'center',
  color: 'palevioletred'
});
/* emotion */

// 탬플릿 리터럴 방식
const Button = styled.button`
  padding: 32px;
  background-color: hotpink;
  font-size: 24px;
  border-radius: 4px;
  color: black;
  font-weight: bold;
  &:hover {
    color: white;
  }
`

render(<Button>Hey! It works.</Button>)

// 객체 전달 방식
render(
  <h1
    className={css`
      font-size: 1.5em;
      text-align: center;
      color: palevioletred;
    `}
  >
    Hiya!
  </h1>
)

// 객체 표기법
const titleStyles = css({
  fontSize: '1.5em',
  textAlign: 'center',
  color: 'palevioletred'
})

render(<h1 className={titleStyles}>Hiya!</h1>)
  • 보다시피 전반적인 스타일 기능과 문법은 매우 유사하다.
  • 탬플릿 리터럴 방식을 사용했을 경우 태그의 구조를 한 눈에 알아보기 어렵다는 단점도 있지만 네이밍 컨벤션을 사용하여 개선하는 방법도 있다!
  • [React] Styled-components Naming

  • Style-component가 좀 더 인지도가 높아보이지만 emotion의 경우 v10에서 v11이 되면서 @emotion/core 에서 @emotion/react로 패키지 이름이 바뀌었다.

  • 아직 v10을 사용하는 개발자도 있기 때문에 v10, v11 패키지를 모두 합하면 style-component보다 더 많은 개발자들이 사용한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
  • Emotion의 경우 Styled-component에 비해 번들 크기가 좀 더 작고 속도가 좀 더 빠르다는 장점이 있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라고 한다.

 

Styled-JSX

  • Next.js 에 기본적으로 내장되어 있는 CSS-in-JS 기반 모듈
  • CSS를 캡슐화하여 다른 구성 요소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기본 사용법

탬플릿 리터럴
<>
  <div className="msg">Hello, World!</div>
  <style jsx>`
    .msg {
      font-size: 20px;
    }
  `</style>
</>
  • style 태그에 jsx 속성을 준 다음 `{ }` 에 CSS를 넣어준다.
  • 기본적으로 styled-jsx는 사용된 컴포넌트에만 영향을 미치며 전역으로 활용하려면 global 속성을 사용한다.
전역 속성
<div>
  <div className="msg">Hello, World!</div>
  <style jsx global>`
    .msg {
      font-size: 20px;
    }
  `</style>
</div>
스타일 객체 활용
import css from "styled-jsx/css";

// 스타일 객체
const style = css`
  .title {
    color: red;
  }
`;

// 컴포넌트 본체
const index = () => {
  return (
    <>
      <div className="title">Hello, World!</div>
      <style jsx>{style}</style>
    </>
  );
};
  • 비즈니스 로직과 스타일을 분리할 수 있게 되지만 동적인 스타일을 부여할 수 없다.
정적인 스타일과 동적인 스타일(조건부) 분리
import css from "styled-jsx/css";
import { useState } from "react";

// 정적 스타일 (상태에 영향을 받지 않는)
const style = css`
  button {
    background-color: #ff23ff;
  }
`;

const index = () => {
  const [isRed, setIsRed] = useState(false);
  return (
    <>
      <div className="title">Hello, World!</div>
      <button
        onClick={() => {
          setIsRed((prev) => !prev);
        }}
      >
        색상 변경
      </button>
      <style jsx>{style}</style>
      // 동적인 스타일 (상태에 따라 색상 변경)
      <style jsx>
        {`
          .title {
            color: ${isRed ? "red" : "black"};
          }
        `}
      </style>
    </>
  );
};

export default index;
  • 기존에 많이 사용하던 CSS-in-JS의 사용방식과 많이 다르고 레퍼런스가 적어서 적용을 할 때 러닝커브가 꽤나 발생할 것 같다.

 

Utility First CSS

  • 맞춤형 디자인을 빠르게 구축하기 위한 유틸성 CSS 라이브러리

Tailwind CSS

기본 사용법

  • className에 CSS 속성을 적어주는 방식
/* 가운데 정렬 */
<div className="flex justify-center items-center">
  <h1>Awesome Tailwind!!</h1>
</div>

장점

  • 정해놓은 클래스 이름을 가져와서 스타일링을 하는 방식이라서 클래스 이름을 고민하지 않아도 됨
  • 반응형 스타일도 클래스만 가져오면 되기 때문에 적용하기 용이함 + 다크모드
  • 화면과 스타일링을 한 번에 개발할 수 있다는 장점

단점

  • 적응 기간이 필요하다(러닝 커브)
  • 코드 가독성이 떨어진다.
  • 물론 위 단점을 개선하는 @apply와 같은 기능도 존재한다!

 

마무리

  • 테마와 같은 공통 영역이나 일부 유틸리티는 CSS-in-JS만으로 쉽게 해결이 어렵기 때문에 대부분 기존 CSS방식이나 CSS module과 같은 기술을 병행한다고 한다.
  • next.js는 9.2 버전부터 CSS module을 기본으로 지원한다.
  • 소규모 프로젝트로써 개발자가 마크업과 JS를 모두 작성하는 경우, 컴포넌트 단위 개발인 경우, 빠르게 작성하고 테스트하는 것이 중요한 경우에는 CSS-in-JS가 유리하고
  • 어느 정도 규모를 갖춰서 성능도 고려해야 하는 경우 CSS module이나 +tailwind 와 같은 유틸리티 구성이 보통은 좋다고 한다!

참고 자료

반응형
댓글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