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개요

  •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어떠한 요청과 응답을 주고받을 때 그 사이사이에서 역할을 하는 기능들이 있습니다.
  •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보낼 수 있는 자격이 있는지(인증, 인가) 그리고 그 요청이 적절한 요청인지(유효성 검사) 등의 검사가 필요할 수도 있고, 요청과 응답에 무언가를 추가하거나 데이터를 제어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 이러한 요청과 응답의 전 과정을 생명주기(life cycle) 라고 하는데요! 이러한 라이프사이클에 관여하는 여러 기능들이 nest 공식문서에 소개되어 있습니다.

  • 미들웨어, 필터, 파이프 가드, 인터셉터가 그 기능인데요. 공식문서를 보면 모두 Route Handler 에게 요청이 도달하기 전에(인터셉터는 전후로) 동작하는 무언가인 것 같은데 어떨 때 사용되는 것인지 명확하게 그림이 그려지지 않았습니다.
  • 그래서 Nest.js 의 라이프사이클을 간단하게나마 이해하기 위해 정리해보았습니다.

 

라이프사이클(Life Cycle)

  1. Incoming request
  2. Globally bound middleware
  3. Module bound middleware
  4. Global guards
  5. Controller guards
  6. Route guards
  7. Global interceptors (pre-controller)
  8. Controller interceptors (pre-controller)
  9. Route interceptors (pre-controller)
  10. Global pipes
  11. Controller pipes
  12. Route pipes
  13. Route parameter pipes
  14. Controller (method handler)
  15. Service (if exists)
  16. Route interceptor (post-request)
  17. Controller interceptor (post-request)
  18. Global interceptor (post-request)
  19. Exception filters (route, then controller, then global)
  20. Server response
  • 라이프 사이클을 나타내면 위와 같습니다.
  • 크게 보면, middleware > guard > interceptor > pipe > business Logic > interceptor > exception filter 순으로 적용이 된다고 볼 수 있고
  • 요청 처리 이전에는 Global > Controller > Route 처럼 범위를 크게 가지는 기능부터 실행이 되고 요청 처리 이후에는 반대로 실행이 되는 것을 볼 수 있네요!

 

미들웨어(Middleware)

  • 미들웨어는 라우트 핸들러 이전에 호출되어서 요청과 응답 객체에 접근하여 제어를 합니다.
  • 요청 생명주기 맨 앞단에 위치하여 대체로 로깅 작업에 사용됩니다.
  • Nest의 미들웨어는 기본적으로 express에서 구현하고 있는 미들웨어와 동일합니다.
// logger.middleware.ts

import { Injectable, NestMiddleware } from '@nestjs/common';
import { Request, Response, NextFunction } from 'express';

@Injectable()
export class LoggerMiddleware implements NestMiddleware {
  use(req: Request, res: Response, next: NextFunction) {
    console.log('Request...');
    next();
  }
}
  • @Injectable() 데코레이터가 있는 클래스가 NestMiddleware 인터페이스를 구현함으로써 기능을 정의할 수 있으며 next() 를 통해 다음 스택에 있는 미들웨어를 호출할 수 있습니다.

 

미들웨어 적용

전역 범위 미들웨어

// logger.middleware.ts

import { Request, Response, NextFunction } from 'express';

export const logger = (req: Request, res: Response, next: NextFunction) => {
  console.log('Request is received...');
  next();
};
import { NestFactory } from '@nestjs/core';
import { AppModule } from './app.module';
import { logger } from './logger.middleware';

async function bootstrap() {
  const app = await NestFactory.create(AppModule);
  app.use(logger);
  await app.listen(3000);
}
bootstrap();
  • 위에서 작성된 미들웨어는 entry point에서 use() 함수를 통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방식으로 정의된 미들웨어는 의존성 주입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의존성이 필요한 전역 설정이 필요하다면 모듈 범위 미들웨어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모듈 범위 미들웨어

import { Module, NestModule, MiddlewareConsumer, RequestMethod } from '@nestjs/common';
import { AppController } from './app.controller';
import { AppService } from './app.service';
import { LoggerMiddleware } from './logger.middleware';

@Module({
  imports: [],
  controllers: [AppController],
  providers: [AppService],
})
export class AppModule implements NestModule {
  configure(consumer: MiddlewareConsumer) {
    consumer
      .apply(LoggerMiddleware)
      .forRoutes(
        {path: '/user', method: RequestMethod.GET,},
      );
      // forRoutes('*') -> 모든 경로, 모든 메소드 허용
  }
}
  • 미들웨어를 포함하는 모듈은 NestModule 인터페이스를 구현해야 하며 configure() 메소드를 통해 설정합니다.
    • 모듈 범위 미들웨어들은 최상위 모듈에 바인딩된 미들웨어부터 작동하며,
    • 그 이후에는 imports 배열에 추가되어있는 순서대로 각 모듈의 미들웨어들이 호출됩니다.
    • 위 예제같은 경우는 /user 경로로 GET 요청이 들어왔을 때 LoggerMiddleware 함수가 호출되어 요청 이전에 먼저 실행이 될 것입니다!
    • 로깅과 같은 작업은 여러 기능에 동시에 존재할 수 있는데요! 모든 기능에 로그를 수행하는 코드를 넣는다면 중복도 많아지고 코드가 변경되었을 때 유지보수도 힘들어지겠죠?!
    • 따라서 AOP의 관점에서 로깅을 하는 함수는 한 군데에서 관리를 하고 이 함수가 필요한 기능을 forRoutes에 정의해줌으로써 비즈니스 로직과 부가기능을 분리할 수 있습니다!

 

가드(Guard)

  • 가드는 미들웨어와 마찬가지로 Route Handler 이전에 실행이 되지만 미들웨어와 다르게 실행 컨텍스트에 접근이 가능합니다.
  • 미들웨어는 next() 함수 호출을 통해 다음 미들웨어를 호출하지만 어떤 미들웨어가 실행되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하지만 실행 컨텍스트에 접근이 가능한 가드는 다음에 실행될 내용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코드가 선언적으로 유지되는 것에 도움이 됩니다.
import { Injectable, CanActivate, ExecutionContext } from '@nestjs/common';
import { Observable } from 'rxjs';

@Injectable()
export class AuthGuard implements CanActivate {
  canActivate(
    context: ExecutionContext,
  ): boolean | Promise<boolean> | Observable<boolean> {
    const request = context.switchToHttp().getRequest();
    return validateRequest(request);
  }
}
  • 가드는 CanActivate 를 구현하고 있는 @Injectable 클래스입니다.
  • 주로 인증과 인가를 구현해서 로그인이 필요한 요청에 대해 로그인이 된 유저인지(인증) 확인하거나 권한이 있는 사용자의 요청(인가)인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위 코드의 경우는 validateRequest(request) 를 true로 통과한 요청만 다음 단계로 진행할 수 있도록 구현되었습니다.
// 전역 가드 설정
const app = await NestFactory.create(AppModule);
app.useGlobalGuards(new AuthGuard());

// 종속성 주입이 필요한 경우
import { Module } from '@nestjs/common';
import { APP_GUARD } from '@nestjs/core';

@Module({
  providers: [
    {
      provide: APP_GUARD,
      useClass: AuthGuard,
    },
  ],
})
export class AppModule {}
import { Controller, Get, UseGuards } from '@nestjs/common';
import { AuthGuard } from './auth.guard';

@Controller('app')
@UseGuards(AuthGuard) // 컨트롤러 레벨에서 가드 적용
export class AppController {

  @Get('protected')
  @UseGuards(AuthGuard) // 메서드 레벨에서 가드 적용
  protectedRoute() {
    return 'This route is protected!';
  }

}
  • 정의된 가드는 전역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데코레이터와 데코레이터의 위치를 통해 더 좁은 범위에서 적용시킬 수도 있습니다.

 

파이프(Pipe)

  • 파이프는 PipeTransform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고 있는 Injectable 클래스입니다.
  • 두 가지 주요 기능은 아래와 같습니다.
    • transformation: 입력 데이터를 원하는 형식으로 변환합니다. ex) 문자열 -> 정수
    • validation: 데이터가 올바른 형식으로 입력되었는지 유효성 체크를 합니다.
  • 기능만 놓고 보면 스프링부트의 validation 라이브러리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것 같네요!
  • Nest는 메소드가 호출되기 직전에 파이프를 삽입하고 인수를 수신하여 제어합니다. 이 때 변환이나 유효성 검사와 같은 작업을 하고 제어된 인수를 넘겨서 최종적으로 메소드가 호출되게 됩니다.

 

파이프를 사용하는 방법

// 전역 범위 설정
async function bootstrap() {
  const app = await NestFactory.create(AppModule);
  app.useGlobalPipes(globalPipe)
  await app.listen(3000);
}
bootstrap();

// 핸들러 범위 설정
@UsePipes(pipe)
@Get(':id')
async findOne(@Param('id') id: number) {
  return this.catsService.findOne(id);
}

// 파라미터 범위 설정
@Get(':id')
async findOne(@Param('id', ParseIntPipe) id: number) {
  return this.catsService.findOne(id);
}
  • 사용 방법은 가드와 유사합니다.
  • entry point에서 함수를 이용해 전역에서 사용할 수도 있고 데코레이터를 이용해서 범위를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내장 파이프

  1. ValidationPipe
  2. ParseIntPipe
  3. ParseFloatPipe
  4. ParseBoolPipe
  5. ParseArrayPipe
  6. ParseUUIDPipe
  7. ParseEnumPipe
  8. DefaultValuePipe
  • Nest에서 제공하고 있는 내장 파이프입니다.
@Get(':id')
async findOne(@Param('id', ParseIntPipe) id: number) {
  return this.catsService.findOne(id);
}
  • 만약 GET localhost:3000/abc 처럼 number 타입이 아니라 string 타입으로 요청을 보내면 아래와 같은 에러를 내보내게 됩니다.
{
  "statusCode": 400,
  "message": "Validation failed (numeric string is expected)",
  "error": "Bad Request"
}

 

인터셉터(Interceptor)

  • 인터셉터는 NestInterceptor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고 있는 Injectable 클래스입니다.
  • 공식문서에 정의되어 있는 주요 기능은 아래와 같습니다.
    • 메소드 실행 전/후에 추가 로직 바인딩
    • 함수에서 반환된 결과를 변환합니다.
    • 함수에서 발생한 예외를 변환합니다.
    • 기본 기능 동작 확장
    • 특정 조건(예: 캐싱 목적)에 따라 기능을 완전히 재정의합니다.
  • 미들웨어와의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라우트 핸들러 전/후로 호출되어 요청과 응답을 제어할 수 있다는 점이겠네요!
  • 그렇기 때문에 인터셉터 또한 로깅이나 캐싱 에 주로 사용됩니다.
// logging.interceptor.ts

import { Injectable, NestInterceptor, ExecutionContext, CallHandler } from '@nestjs/common';
import { Observable } from 'rxjs';
import { tap } from 'rxjs/operators';

@Injectable()
export class LoggingInterceptor implements NestInterceptor {
  intercept(context: ExecutionContext, next: CallHandler): Observable<any> {
    console.log('Before...');

    const now = Date.now();
    return next
      .handle()
      .pipe(
        tap(() => console.log(`After... ${Date.now() - now}ms`)),
      );
  }
}
  • 간단한 로그를 남기는 인터셉터 예제입니다. 인터셉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NestInterceptor 인터페이스를 injectable 클래스가 구현하고 있어야 합니다.
  • 그리고 interceptor 메소드는 첫 번째 인자로 실행 컨택스트에 접근을 하고 있고 두 번째 인자로는 특정 시점에서 라우트 핸들러를 호출할 수 있는 Call Handler 입니다.
  • 위 예제는 처음 interceptor가 요청을 가로채서 1. Before... 을 출력하고 그 다음 next.handler() 메소드가 2. 원래의 요청 함수를 호출합니다. 그 이후에 .pipe로 인해 3. After... 가 출력되는 것이죠!
// 전역 범위 설정
async function bootstrap() {
  const app = await NestFactory.create(AppModule);
  app.useGlobalInterceptors(new LoggingInterceptor());
  await app.listen(3000);
}
bootstrap();

// 종속성 주입이 필요한 경우
import { Module } from '@nestjs/common';
import { APP_INTERCEPTOR } from '@nestjs/core';

@Module({
  providers: [
    {
      provide: APP_INTERCEPTOR,
      useClass: LoggingInterceptor,
    },
  ],
})
export class AppModule {}

// 컨트롤러 범위 설정
@UseInterceptors(new LoggingInterceptor())
export class CatsController {}
  • 인터셉터의 사용 방법은 미들웨어나 가드 등 다른 유틸리티 클래스와 유사합니다.

 

예외 필터(Exception Filter)

  • nestjs 는 httpException 클래스에서 내장 예외 처리 기능을 제공합니다.
// cats.controller.ts
@Get()
async findAll() {
  throw new HttpException('Forbidden', HttpStatus.FORBIDDEN);
}

// 응답 메시지
{
  "statusCode": 403,
  "message": "Forbidden"
}
  • httpException은 두 가지 필수 인자를 받게 되는데, 첫 번째는 JSON 응답 본문이고, 두 번째는 미리 정의된 HTTP 상태 코드입니다.
throw new BadRequestException('Something bad happened', { cause: new Error(), description: 'Some error description' })

// 응답 메시지
{
  "message": "Something bad happened",
  "error": "Some error description",
  "statusCode": 400,
}
  • 그리고 내장 HTTP 예외와 더불어 cause() 메소드를 이용하면 상세한 오류 내용을 보여줄 수도 있죠!
  • 기본 내장 필터가 많은 사례들을 처리할 수 있지만 직접 Exception Filter 를 구현해서 예외가 발생했을 때 로그를 남기거나 응답 객체를 원하는 대로 변경하는 등의 로직을 넣을 수도 있습니다.
// http-exception.filter.ts

import { ExceptionFilter, Catch, ArgumentsHost, HttpException } from '@nestjs/common';
import { Request, Response } from 'express';

@Catch(HttpException)
export class HttpExceptionFilter implements ExceptionFilter {
  catch(exception: HttpException, host: ArgumentsHost) {
    const ctx = host.switchToHttp();
    const response = ctx.getResponse<Response>();
    const request = ctx.getRequest<Request>();
    const status = exception.getStatus();

    response
      .status(status)
      .json({
        statusCode: status,
        timestamp: new Date().toISOString(),
        path: request.url,
      });
  }
}
  • 예외 필터는 ExceptionFilter 인터페이스를 구현하여야 합니다.
  • 먼저 @Catch 데코레이터는 httpException에 해당하는 예외가 있는지를 살펴봅니다. 데코레이터 안의 파라미터는 여러개가 콤마로 구분지어질 수도 있습니다.
  • 그리고 catch() 메소드는 첫 번째 인자로 현재 처리 중인 예외 개체와 두 번째 인자로 ArgumentsHost를 받고 있습니다. ArgumentsHost는 현재 예외 개체의 실행 컨택스트입니다. 따라서 response나 request와 같은 정보에 접근이 가능한 것이죠!
  • 위 예제같은 경우는 request와 response에 접근하였지만 웹소켓 어플리케이션 같은 경우에는 client, data와 같은 정보에도 접근이 가능합니다.
// 전역 범위 설정
async function bootstrap() {
  const app = await NestFactory.create(AppModule);
  // 전역 필터 설정
  app.useGlobalFilters(new HttpExceptionFilter());
  await app.listen(3000);
}
bootstrap();

// 종속성 주입이 필요한 경우 전역 범위 설정
import { Module } from '@nestjs/common';
import { APP_FILTER } from '@nestjs/core';

@Module({
  providers: [
    {
      provide: APP_FILTER,
      useClass: HttpExceptionFilter,
    },
  ],
})
export class AppModule {}


// 컨트롤러 범위 설정
@UseFilters(HttpExceptionFilter())
export class CatsController {}

// 핸들러 범위 설정
@Post()
@UseFilters(new HttpExceptionFilter())
async create(@Body() createCatDto: CreateCatDto) {
  throw new ForbiddenException();
}
  • 다른 유틸리티 클래스와 마찬가지로 범위 설정 방식은 동일합니다!
반응형
댓글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