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스프링JPA를 이용할 때 나타날 수 있는 N+1 문제는 무엇이며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
- N+1은 JPA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조회할 때 한 개의 쿼리로 처리되길 기대했는데 N개의 추가 쿼리가 발생하는 현상으로 불필요한 리소스를 낭비하고 조회 성능을 악화시키는 문제이다.
- 예를 들어 멤버와 팀간 관계를 생각해볼 때, 한 명의 멤버는 하나의 팀을 가질 수 있고 팀 입장에서는 여러 명의 멤버를 가질 수 있는데 team1의 멤버를 findAll() 하게 되면 멤버들을 전체 조회하는 쿼리가 먼저 나가고 그 다음으로 멤버수만큼 멤버를 조회하는 쿼리가 추가로 나가게 되는 것이다.
- N+1문제가 발생하는 이유는 JPA와 JPQL의 동작 특성 때문이다. JPA가 JPQL을 분석해서 SQL을 생성할 때는 글로벌 Fetch전략을 생각하지 않고 오직 JPQL만을 가지고 쿼리를 생성한다. 그래서 team1의 멤버를 findAll() 했을 때 먼저 멤버들을 전체 조회한 쿼리만 나간 것이고, 그 후에 연관되어 있는 user도 조회해야 하는데 이미 팀에 대한 조회가 끝나서 join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일일이 select 해서 N개 만큼 추가로 쿼리가 나간다.
- 이것은 연관된 엔티티나 컬렉션을 한 번에 같이 조회하는, JPQL에서 성능 최적화를 위해 제공하는 기술인 fetch join과 EntityGraph 어노테이션, 그리고 설정한 수 만큼 In절을 사용해 데이터를 한꺼번에 가져오는 @BatchSize를 이용해 사이즈를 조정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참고
- JPQL은 SQL을 추상화한 객체지향 쿼리 언어로써, 자바 코드에서 DB를 조회할 때 특정 SQL 방언이나 DB에 종속되지 않도록 해준다.
- JPA는 이러한 JPQL을 분석해서 SQL로 변환한 후 DB에서 조회하게 된다.
연관자료
반응형
'CS > CS 14일 프로젝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 14일 프로젝트] 2022-12-08(영속성 컨텍스트) (1) | 2022.12.08 |
---|---|
[CS 14일 프로젝트] 2022-12-06(객체지향프로그래밍) (0) | 2022.12.06 |
[CS 14일 프로젝트] 2022-12-05(쿠키와 세션) (0) | 2022.12.05 |
[CS 14일 프로젝트] 2022-12-04(URI과 URL, MVC) (0) | 2022.12.04 |
[CS 14일 프로젝트] 2022-12-03(REST API, 오버라이딩과 오버로딩) (0) | 2022.12.03 |
댓글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Comparator
- 스프링
- java
- Nest
- 정렬
- 해시맵
- 백준
- dfs
- 자바트리
- 자바스크립트
- 자바
- SQL
- SQLD
- DP
- 스프링부트
- Algorithm
- JPA
- 타입스크립트
- CS
- 알고리즘
- 이분탐색
- Spring
- BFS
- JavaScript
- 형변환
- 프로그래머스
- 자바dp
- 리액트
- 자바bfs
- Queue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